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투자 손익 비율에 대한 생각 - 실전 주식 투자

투자 손익 비율에 대한 생각


A. 손익비를 생각한다는 것


투자에 조금 이라도 관심이 있고, 투자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손익비를 생각하라"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하기에 손실과 이익 비율인데, 곰곰히 생각해 보면 어떻게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것인지 와 닿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익 금액과 손실 금액을 비교하라는 것인지, 이익률과 손실률을 비교하라는 것인지 막연합니다.

그래서, 처음 주식을 매수하는 순간부터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을 때는 손실도 "0", 이익도 "0"인 상태입니다.

이후,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그 순간부터 손실이 날 수도, 이익이 날 수도 있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일종의 확률 게임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내가 사고 주가가 오르면, 이익 확률 5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을 유지하며, 이익 상황으로 끝내면 최종적으로 이익 확률 100%가 됩니다.

반대로 주가가 내리면, 손실 확률 50% 이상의 확률을 유지하다가, 100% 손실로 확정될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익 구간에서 일부 이익을 거둘 수도, 손실 구간에서 일부 손실을 거둘 수도 있습니다.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말은 이익 금액이 얼마, 손실 금액이 얼마, 이익률이 얼마, 손실률이 얼마의 구체적인 숫자가 아니라, 내가 이익을 거둘 확률을 높이라는 말로 저는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손익 금액과 손익률은 종목의 상황에 따라, 투자하는 사람의 성향, 그릇, 매매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B. 이익 확률을 높임


잃기 위해서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이 추상적인 말은 결국 "매 순간 이익 확률을 높여라" 라는 말로 받아들여 졌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이익 확률을 높일 수 있을까요?

주식은 변동성이 있을 때,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가가 우상향 할 때도 하락 파동의 변동성이 있고, 우하향 할 때도 상승 파동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횡보 중일 때도 상, 하향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변동성은 무엇이 만들어 내는 것일까요?

바로, 거래 대금 혹은 거래량이 만들어 냅니다.

결국, "손익비를 생각하라"는 말의 가장 근본을 쫓아가게 되면, 시가총액 대비 거래 대금이 상대적으로 많은 곳에서 매매하라는 말에 가까워 집니다.

거래 대금이 많은 곳에서 매매하되, "이익 확률이 높은 매매를 하라" 입니다.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C. 결론


매 순간 이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매매를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종목에 대해 내가 주도권을 가지고 매매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도권을 빼앗겨 버리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어떤 상황일까요?

아마도, 주가의 고점에서 많은 비중으로 매수하여, 하락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고, 손을 쓸 수 없는 상태에서 평가 손실률이 큰 상황일 것입니다.

소위 말해서 손익비가 최악의 상황인 것입니다.

저의 기준으로 손익비가 좋은 상황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재무상태, 손익이 양호하고, 이동 평균선이 정배열에 있고, 시가총액 대비 거래 대금이 1~2%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종목을 선정합니다. 

이런 종목 중, 주가의 위치가  240일(1년)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아래, 위로 이격이 많이 벌어지지 않은 종목을 재차 선정합니다.

그리고, 이 종목의 비중이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상황입니다.

저의 경우 종목당 투자 금액 대비 컨트롤에 용이한 매수 비중의 범위는 대략 10~30% 입니다.

경험적으로 저는 이 비중이 안정적으로 수익 내기에 가장 적절한 비중 이었습니다. 

경험이 쌓임에 따라, 이 비중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이 비중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실력에 따라, 선호하는 주가의 위치와 컨트롤 할 수 있는 비중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안정적으로 주도권을 가지고 꾸준히 수익을 내는 매매를 하기에는 10~30% 비중이 적당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결론 지어 얘기하면, 결국, "손익비를 생각하라"라는 말은 "스스로 종목의 주도권을 가지고 매매할 수 있는 상황을 항상 만들어라" 라는 말로 바꾸어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 글]


- 이 글은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