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식 시황인 게시물 표시

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ock trading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주식 시장 하락장 대응 - 주식 시황 | Responding to Stock Market Decline

주식 시장 하락장 대응 A. 잦은 급락 지난 8월 5일 어이 없는 급락장을 겪은 이후, 다시 한 달 만에 큰 폭의 하락장 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의 하락으로, 다음 주 월요일 장에서 다시 하락을 예고 하고 있습니다. 며칠 간 하락이 이어져 왔기에 하락이 멈추기를 바라지만, 미국 증시 하락에 연동해서 하락하는 과거의 사례를 봤을 때, 월요일 장도 제법 큰 폭의 하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8월 초 하락을 메우는가 싶더니, 다시 하락 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가 상승할 때는 따라가지 못하고, 하락 할 때는 여지 없이 같이 하락 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달, 기술적 반등을 할 때, 상승을 기대하고 다시 주식을 매수한 개인 투자자들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차트 윗 구간에서 많은 비중을 매수했거나, 반등 구간에서 상승을 기대하고 자금을 많이 투입한 투자자들은 심리적으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 으로 생각합니다. B. 현금 확보 어떤 전문가들은 지금 시점에라도 현금이 없다면, 현금 확보를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과연, 하락하고 있는 지금 시점에 현금 확보를 해야 할까요? 그리고, 할 수 있을까요? 말은 참 쉽습니다. 더 하락할 수도 있으니, 더 하락하기 전에 현금 확보하라. 많은 종목들이 대략 20~30%, 그 이상의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손실 상황에서 선뜻 그런 손실을 감수하며 현금 확보를 할 수 있을까요? 저는 지금은 현금 확보할 타이밍은 늦었다고 봅니다. 현금을 확보하려면, 조금 더 빠른 시점에 했어야 합니다. 현금 확보는 필요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하기 힘든 구간이라고 봅니다. 주가는 또 반등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떨어지는 중에 현금 확보를 하는 것 보다는 반등하는 시점에 일부 비중을 덜어내며, 현금 확보 하는 것이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봅니다. 분할 매도로 비중을 덜어내는데, 상승 정도에 따라, 대략 적게는 보유 비중의 5% 에서 많게는 30% 정도까지 비중을 덜어낼 수 있다 고 봅니다. 이 정도까지 보...

미국 금리 인하, 3주 앞으로 - 주식 시황 | U.S. rate cuts, three weeks ahead

미국 금리 인하, 3주 앞으로 A. 금리 인하 기대 오늘 경제면 기사를 읽던 중, 한 일간지의 기사가 눈에 들어와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미국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FOMC)가 9월 17일~18일 양 일간 열린다 고 합니다. 국내 주식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 때문인지 반등 이후 그럭저럭 버티고 있는 모습 입니다.  이론적으로 금리가 낮아지면 증시는 상승 해야 합니다.  금리가 내리면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절박함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증시가 좋지 않았다는 얘기 도 있습니다.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라"는 월가의 말처럼, 막상 금리가 인하되면 증시가 하락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얘기 도 있습니다. B. 어쩌라는 거지 저는 이런 기사를 볼 때 마다 "그래서, 뭐 어떻게 하라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금리가 내리면, 주가가 오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얘기 아닌가" 누구나 할 수 있는 얘기지만, 저는 이 말에 핵심이 있다고 생각 합니다. 투자자는 오를 수도, 내릴 수도 있는 두 가지 상황에 모두 대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 글에서도 일관 되게 얘기했지만, 개인 투자자는 항상 현금을 보유 하고 있어야 합니다. 미국 금리 인상, 인하 이슈 언제나 나오는 얘기 입니다. 미국 금리를 인하하면 돈이 많이 풀리고, 증시가 전반적으로 좋아질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 금리는 어떨까요? 인하할까요? 우리나라 금리 까지 얘기하면, 또 얘기가 복잡해 질 수 있습니다. 또, 여러가지 기사를 쏟아내겠지요. 어쨌든 이것이 제가 얘기 하고자 하는 핵심은 아닙니다. C. 결론 미국 금리 인하가 어떻든, 우리나라 금리 인하가 어떻든, 막상 투자할 시기가 되어서 내가 돈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돈을 마련할 여건이 안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시장에서 아무리 예측해 봐야 그 예측이 맞을 지 안 맞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저, 예측입니다. 언론에서 항상 나오는 얘기가...

변곡점 이후 대응 - 주식 시황 (2024년 8월 현재) | Response after inflection point - Stock market conditions (as of August 2024)

변곡점 이후 대응 - 현재 주식 시황 A. 회복 중 지난 주 뉴욕 증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상승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증시 는 8월 초 충격을 딛고 상승 중, 약 보합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증시의 다음 주 상승을 기대해 봅니다. 코스피가 2700선을 지키며 상승할 수 있을 지, 코스닥은 800선에 이를 수 있을 지 지켜볼 일 입니다. 투자자들은 시장에 큰 기대감도, 큰 실망감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개별 종목 분석보다 더 어려운 것이 종합 주가 지수에 대한 예측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별 종목과 달리 주식 시장 전체는 거래 대금, 거래량의 급격한 변동이 자주 있지 않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움직임, 신용 거래의 크기 등으로 예측한다고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예측입니다. 예측에 기대어 극단적으로 행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B. 변곡점 이후 매매 개인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코스피 지수는 2,700, 코스닥은 800 정도를 변곡점으로 생각 하고 있습니다. 1. 상승 시 생각하고 있는 변곡점을 넘어 상승한다면, 보유한 종목 중 이익 나는 종목에 대해서는 분할 매도 후 전량 매도 생각 하고 있습니다. 상승 폭이 크면 일부 종목에 대해서는 불타기 매수 후 분할, 전량 매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승 중, 신규 매수는 개별 종목의 흐름을 봐야 하겠지만, 종목 선택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매수 자제 할 것입니다. 종목 선택 기준에 부합하고, 보유 종목 수가 적어져 매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면, 일부 신규 종목 분할 매수 할 수도 있겠습니다. 2. 하락 시 변곡점을 두고 하락하게 되면 보유한 종목에 대해서는 매수를 자제 하겠습니다. 보유한 비중이 적은 종목이 일부 있다면 하락 중 일부 분할 매수할 수도 있겠습니다. 주가 지수가 다시, 안정을 찾을 때를 기다려, 보합 혹은 상승 흐름에서 서서히 추가 매수 하겠습니다. 주가 지수 하락 폭이 크면, 주가 지수와 개별 종목들의 상황을 살펴, 평소 관심 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