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매도와 매수의 가장 큰 차이 - 실전 주식 투자

매도와 매수의 가장 큰 차이


A. 분할 매도


비중과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합니다.

첫 매수를 시작한 후, 하락 시에는 추가 매수를 멈춘 후, 양봉 혹은 횡보 흐름이 나오기 시작하면 추가 매수를 합니다.

상승 시에는 매도를 시작합니다.

주가가 상승할 때, 분할 매도를 해야 하는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 봅니다.

이익을 실현하는 방식은 개개인이 모두 다릅니다.

종목을 추천하는 사람들은 추천 종목의 목표 주가와 손절가를 정해 줍니다.

그 말을 듣고 목표 주가가 오기 전까지는 전혀 팔지 않고, 기다리는 투자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런 방법이 옳을까요?

주식 매매는 매 순간이 선택의 연속입니다. 상황을 가정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주가가 상승 중인 어느 한 시점이 있습니다. 내가 전혀 매도를 하지 않았는데, 주가가 하락합니다.

이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팔았어야 하는데.. 이런 생각이 들 겁니다.

반대로, 어느 한 시점에서 내가 전부 팔았다고 생각을 해봅니다. 그런데, 주가는 상승합니다.

이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안 팔았어야 하는데.. 이런 생각이 들 겁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양 쪽 모두를 고려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면, 방법은 분할 매도입니다.

매 선택의 순간 적당함을 유지한 분할 매도가 필요합니다.

분할 매도의 규모와 간격은 각 개인의 비중과 전체 계좌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B. 주도권 차이


매수도 매도와 마찬가지 입니다. 매 순간이 선택의 연속입니다. 

매수는 공격보다는 방어가 우선입니다. 내가 사면 상승한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항상 하락 상황을 대비하고 매수 해야 합니다.

분할 매수 없이, 상승 만을 바라 보고 매수를 한다면, 급락 상황에서는 속수무책입니다.

손절매도 혹은 기다림, 두 가지 선택 뿐입니다.

분할 매수를 해야 하는 가장 단순하면서, 명확한 이유입니다.

비중이 작은데 상승한다. 좀 더 살걸.. 이것은 어쩌면 욕심입니다.

비슷한 상황에서 비중을 최대로 싣고, 하락 상황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매수와 매도는 모두 분할이 기본입니다.

그러면, 매수와 매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저는 주도권이라고 생각합니다.

C. 결론


우리가 산 가격보다 주가가 높아야 매도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익은 주식 시장이 주는 것입니다.

매도는 주도권이 주식 시장에 있습니다. 투자자는 주식 시장에 맞추어서 매도해야 합니다.

기회가 될 때, 분할 매도 혹은 전량 매도하여 반드시 이익을 취해야 합니다.

하지만, 매수는 시장 상황을 보며 내가 할 수 있습니다.

주도권이 나에게 있습니다. 내가 매수하는 순간부터, 시장에 주도권을 조금씩 빼앗깁니다.

매수하는 순간부터 시장과 나의 주도권 싸움이 시작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매수를 좀 더 신중히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비중이 많은 상태에서 불리한 상황이 되면 내가 완전히 주도권을 빼앗긴 것입니다.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분할 매수와 비중 조절은 필수입니다.

이익 상황에서 하락에 대비해서 반드시 분할 매도 혹은 전량 매도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내가 지금 시장과 주도권 다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이익 상황이든 손실 상황이든 분할 매도, 분할 매수를 통해 비중 조절에 좀 더 힘쓰게 됩니다.

[관련 글]


- 이 글은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