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처음부터 깐깐하게 매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 실전 주식 투자

처음부터 깐깐하게 매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A. 비중을 아낍니다.


검색 식을 이용하여 나의 매매 패턴에 맞는 종목들을 추립니다.

추린 종목 중에서도 오늘 주가의 위치와 흐름이 괜찮아 보이는 종목을 선정합니다.

선정한 종목은 거래 대금이 지속 발생하여 파동을 줄 수 있는 종목이어야 합니다. 

최대한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는 종목을 선정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받아갈 목적으로, 어중간하게 종목을 선정하지 않습니다.

최대한 상승할 것 같은 종목을 선정하더라도, 이 종목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확률은 반반입니다.

이런 식으로 종목 선정을 하지 않으면, 대부분 큰 확률로 하락할 종목을 선정하게 됩니다.

종목의 선택부터 깐깐하게 해야 합니다. 깐깐하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오후 2시 이후 천천히 분할 매수하거나, 종가에 종목 투자 금액의 8~12% 정도를 매수합니다.

흔히 보초병을 세운다고 얘기합니다. 욕심을 내지 않습니다.

"느슨하게 매수하지 않는다"는 마음가짐을 항상 가집니다. 비중을 아낍니다.

언제든 하락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매수합니다.

이렇게 깐깐한 매수를 하더라도 어느 순간 초심을 잃고 무리한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B. 평가 손실의 최소화


주식 시장은 돈의 전쟁터입니다.

개인들이 상대할 기관 투자자들은 그야말로 고도로 훈련 된 특수군 들입니다.

이러한 전쟁터에서 느슨하게 행동해서는 안됩니다.

방심하는 순간 모든 것을 털리게 됩니다.

유리한 위치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합니다.

예측해서 미리 무방비 상태로 뛰어 들었다가는 그야말로 총알 받이가 될 수 있습니다.

기준 없이 느슨하게 "이 정도면 더 매수해도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매수하다 보면 어느 순간 평가 손실은 커지고, 물려 있는 종목들이 한 두 종목 씩 늘어납니다.

시간을 두면서 주가와 평균 단가의 이격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기다리는 매수가 필요합니다.

매수는 "이 정도면 되겠지" 하는 예측이 아닙니다. 기다린 후 대응하는 것입니다. 

C. 결론 - 처음부터 깐깐한 매수


살지 말지 고민이 되면, 매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매수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고민하게 되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는 초기 매수를 제외하면, 매수든 매도든 주가가 상승 신호를 보낼 때 실행 합니다.

상황을 보고 대응하려는 것입니다.

평상시 매매에서 신중하게 매수해야 급락 장이 왔을 때, 매수할 수 있는 충분한 현금 여유가 생깁니다.

변동성이 작은 시장에서 작은 비중으로 매매한다고 해서, 그 수익금이 결코 작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금 회전을 높이면서 충분히 더 좋은 수익금을 낼 수 있습니다.

무리한 비중으로 매수해서 오랜 시간 돈이 묶인 후, 손실 혹은 약간의 이익을 보는 것 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평상시 깐깐한 매수는 하락 장이 왔을 때 더 유리해 집니다.

[관련 글]


- 이 글은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