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ock trading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주식 시장 급락과 반등 과정에서 일어난 일 - 실전 주식 투자 | What Happened During The Stock Market's Surge and Rebound

주식 시장 급락과 반등 과정에서 일어난 일


A. 급락


8월 주식시장도 다음 주면 마무리 됩니다.

시간 참 빠르게 흘러갑니다. 8월 5일 급락으로 시작한 이번 달 주식 시장도 참 힘겹게 지나온 것 같습니다.

빠진 주가가 힘겹게 올라 오는가 했더니, 시원하게 가지 못하고 주춤하고 있습니다.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할 때,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자금을 운영하는가"가 궁금했습니다.

몇 해 주식 투자를 해 온 저의 상황을 공유해서 "다른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이렇게도 하고 있구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8월 5일 월요일 급락 직전 8월 2일까지 저의 현금 대비 주식 투자 비중은 35% 였습니다.

8월 2일 금요일에도 꽤 큰 하락이 있었기에 8월 1일 33% 보유 비중에서 35%로 늘어났습니다.  

보유 종목 수는 10종목 이었습니다. 

처음 투자를 시작하면, 보유 종목을 몇 종목을 가져 갈 지 정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백화점 식 종목 보유, 5종목 정도의 종목 보유도 해 보기도 했지만, 저에게는 평상시에 10종목 정도 보유하는 것이 지루하지 않고 가장 적당했습니다.

급락한 8월 5일 당일 주식 비중은 40% 까지 채워졌습니다.

8월 2일과 8월 5일 이어진 급락 상황에서 주식 보유 비중이 7% 증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늘어난 대부분 비중은 평소에 관심 있던 종목 들을 신규 매수한 것입니다.

5종목 더 매수하면서 8월 5일 급락 당일 보유 종목 수는 15종목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비중은 많이 채우지 않고, 더 떨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에 일부 매수만 했습니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종목에 대해서는 평소 상황이면, 기존 종목에 대해서 하락 중 매수 하지는 않지만, 하락 폭이 너무 컸기에 8월 5일 종가 매수로 일부 비중만 종목당 1~3% 정도 조금 매수 했습니다.

B. 반등


결과적으로 더 떨어지지 않고, 다시 반등하게 되면서, 조금 더 채울 걸 그랬나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것은 아무도 모를 일이기에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다행히, 8월 6일 부터 급격히 기술적 반등이 일어나면서 신규 매수한 종목들은 이익 나는 순서대로 전량 매도하면서 종목들 교체가 일어났습니다.

기존 보유 종목들 중 2종목은 급반등에 전량 매도하였고, 신규 매수한 종목들은 모두 전량 매도 후 일부 종목들은 재 매수 하면서 지금은 11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식 보유 비중은 34%로 내려온 상황입니다.

11종목 중 가장 많은 보유 비중을 차지 하는 종목은 44%, 가장 적은 보유 비중 종목은 8% 입니다.

평균해서 전체 34% 주식 비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 결론


어떤 투자자들이 보면 쫄보 매매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경험 상, 비중을 많이 가져간다고 심리적으로든, 또 다른 이유에서든 이익을 더 많이 주는 것이 아니었기에, 나의 스케일에 맞는 적정한 비중으로 매매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이익금과 추가 외부 유입금은 이자가 있는 통장으로 이동 되기에 거기에서 크지는 않지만, 이자소득이 발생합니다.

참고로 저의 경우는 평소 투자 금액 중 30%는 이자 소득이 있는 통장에, 나머지 70%는 주식 계좌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개인 투자자들은 하락에도 위축되지 않게 현금을 보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있어서 위축되지 않는 현금 비중은 위에서 보유한 현금 비중이라고 생각합니다.

각자 심리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주식과 현금 보유 비중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과 경험을 적은 것이니, 주식과 현금 보유 비중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관련 글 (related article)]


-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