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ock trading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변곡점 이후 대응 - 주식 시황 (2024년 8월 현재) | Response after inflection point - Stock market conditions (as of August 2024)

변곡점 이후 대응 - 현재 주식 시황


A. 회복 중


지난 주 뉴욕 증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상승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증시는 8월 초 충격을 딛고 상승 중, 약 보합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증시의 다음 주 상승을 기대해 봅니다.

코스피가 2700선을 지키며 상승할 수 있을 지, 코스닥은 800선에 이를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입니다.

투자자들은 시장에 큰 기대감도, 큰 실망감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개별 종목 분석보다 더 어려운 것이 종합 주가 지수에 대한 예측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별 종목과 달리 주식 시장 전체는 거래 대금, 거래량의 급격한 변동이 자주 있지 않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움직임, 신용 거래의 크기 등으로 예측한다고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예측입니다. 예측에 기대어 극단적으로 행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B. 변곡점 이후 매매


개인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코스피 지수는 2,700, 코스닥은 800 정도를 변곡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 상승 시


생각하고 있는 변곡점을 넘어 상승한다면, 보유한 종목 중 이익 나는 종목에 대해서는 분할 매도 후 전량 매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승 폭이 크면 일부 종목에 대해서는 불타기 매수 후 분할, 전량 매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승 중, 신규 매수는 개별 종목의 흐름을 봐야 하겠지만, 종목 선택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매수 자제할 것입니다.

종목 선택 기준에 부합하고, 보유 종목 수가 적어져 매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면, 일부 신규 종목 분할 매수 할 수도 있겠습니다.

2. 하락 시


변곡점을 두고 하락하게 되면 보유한 종목에 대해서는 매수를 자제하겠습니다.

보유한 비중이 적은 종목이 일부 있다면 하락 중 일부 분할 매수할 수도 있겠습니다.

주가 지수가 다시, 안정을 찾을 때를 기다려, 보합 혹은 상승 흐름에서 서서히 추가 매수하겠습니다.

주가 지수 하락 폭이 크면, 주가 지수와 개별 종목들의 상황을 살펴, 평소 관심 있던 종목에 대해서 일부 분할 매수 하겠습니다.

C. 대응 및 결론


변곡점 이후, 대응은 종합 주가 지수를 예측해서 미리 정확한 타이밍을 맞추어 매도와 매수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주가의 흐름에 맞추어 분할 매도, 분할 매수 하고 적정한 비중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상승이 예측된다고 해서 극단적 매수로 대응하고, 하락 한다고 해서 극단적 매수 혹은 손절로 대응하는 것이 아닙니다.

먼저, 내가 보유한 주식 계좌의 상태를 살핍니다.

계좌의 상태에 따라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주식 비중과 종목 수를 상황에 맞게 가져가는 것이 대응의 핵심입니다.

[관련 글 (related article)]


- 매매에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