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주식 투자 -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주식 트레이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요약한 것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주식, 현금 비중 기업 개요, 재무제표, 공시, 차트 등의 기본적 사항을 점검하고, 종목을 선택 후에는 이제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됩니다. 분할 매수를 할 것인가, 한 번에 일괄 매수를 할 것인가, 분할 매수를 한다면 한 번에 어느 정도 수량을 얼마의 기간에 걸쳐서 할 것인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작 개인에게 중요한 것은 트레이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인데, 이것을 얘기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수년간의 개인적인 주식 투자 경험에 비추어 말씀을 드리자면, 개인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유한 현금에 대한 주식 비중 입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잘 골라도 비중이 많이 채워진 상태에서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을 맞게 된다면, 개인들은 버티기가 힘듭니다. 항상 현금 보유 비중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현금 보유 비중은 차이 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평소 주식 비중을 25~35% 내외 로 가져가고, 현금 보유 비중은 65~75% 를 가져갑니다. 주식 보유 비중을 25~35% 채우는데도, 파동과 거래대금을 보면서, 수 일에 걸쳐서 잘게 쪼개서 채웁니다. 20%를 채우지 않는 종목도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 시장 은 아시다시피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수시로 찾아오는 급락에 넉넉한 현금 보유는 현재 보유한 주식의 비중을 채우거나, 신규 종목을 편입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평소 주식 비중 25~35%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비중이 적을수록, 상승시 성급한 매도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오히려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비중은 적게, 자금 회전은 빠르게, 수익률은 경우에 따라 높게 한다는 생각 을 가지게 된다면, 훨씬 ...

장기 투자의 역설 (feat. 한국 주식 시장) - 실전 주식 투자

장기 투자의 역설 (feat. 한국 주식 시장) A. 이론적 권유 주식 투자의 정석은 장기 가치 투자라고 합니다. 누구나 한 번씩 듣게 되고, 주식 책을 사서 보게 되더라도 이런 내용은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지난 코로나 시국에서 주식 시장이 한창 달아 올랐을 때 ,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여러 매체에 나와서 장기 가치 투자를 주식 투자의 정석인 것처럼 말했습니다 . 맞습니다. 주식 투자는 자본주의 시장에서 자기 자본을 증식하고, 노후를 대비한 장기 가치 투자가 맞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쉽게 얘기하는 이 장기 가치 투자는 진정한 고수의 영역 입니다. 주식 투자에 대해 이론적, 경험적으로 많은 것이 갖추어진 이 후에 할 수 있는 것 입니다. 20~30년 전 젊은 시절에 삼성전자 주식을 사두고 잊고 있었는데, 어느 날 우연히 주식 계좌를 열어보니, 수십 배가 넘게 올라 있었다. 좋은 주식을 사고 난 후, 잠을 자라. 주식 시장이 한참 달아오를 때 이런 얘기가 수십 차례 방송을 탄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이렇게 해서 주식 투자에 성공하는 것은 아주 드물고, 운이 좋은 케이스 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같은 시기에 대우자동차나 한국전력의 주식을 샀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 당시 대우자동차나 한국전력도 우리나라의 열 손가락 안에 드는 우량한 기업이었습니다. 지금은 어떻게 되었나요, 다들 아시겠지만, 하나는 사라졌고, 하나는 회복하기는 했지만, 정부 정책의 변화로 인해 누적으로 수십 조의 손실을 입고 아직도 재무상태는 좋지 않습니다. 이 종목을 산 전문 투자 회사도 손실을 보는 마당에, 개인은 어떻겠습니까. 주식 시장을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명목 상의 장기 가치 투자를 생각 없이 계속 하게 되면 깡통을 찰 수  있습니다. B. 장기 투자의 다른 이해 주식 시장은 정보의 비대칭이 가장 극심한 곳 중의 하나 입니다. 개인이 개별 회사의 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정부 정책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저는 장...

특히, 초보 투자자에게 첫 주식 매수 시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 실전 주식 투자

특히, 초보 투자자에게 첫 주식 매수 시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A. 차트는 반드시 봐야 합니다. 어떤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은 방송에 나와서 말합니다. 주가는 오르내림을 예측할 수 없으니, 차트를 볼 필요는 없고, 우량주 혹은 앞으로 우량주가 될 종목을 매일 모아가라고 말합니다. 주식 투자는 노년을 대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노년 대비" 맞습니다. 하지만, 차트를 보지 않고 투자하면 "노년 대비"는 커녕, 노년에 깡통 찰 수 있습니다.  차트는 곧 타이밍입니다. 초보 투자자가 지금 사야 할 타이밍이냐고 물어보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 입니다. 이렇게 질문하는 것을 타박 하는 전문가라면 그 사람이 이상한 것입니다. "차트를 보지 말라"는 말은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는 미국 주식 시장 정도를 제외 하면, 한국 포함 변동성이 크고 장기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는 시장에서는 맞지 않는 말입니다. 어쩌면 미국 시장에서도 첫 매수 시점을 잘못 잡거나, 종목을 잘못 잡으면 오랜 시간 고통을 겪게 됩니다. "차트를 보지 말라"는 말은 어떻게 보면 처음 주식을 접하는 사람들을 속이고 선동하는 말입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차트는 매우 중요 합니다. 예를 들어 종합 주가 지수가 고점에서 대형주 매수를 시작했다고 해보겠습니다. 적립식 펀드에 가입해서 매매를 시작하든, 개인이 계획을 세워 매수를 시작하든 마찬가지 입니다. 고점에서 매일 매수를 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처음 얼마간은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매일 받아가는 매매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추며, 주가의 하락을 쫓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중이 어느 정도 쌓인 상태에서, 평균단가가 계속 하락을 지속하게 되면, 일정한 적립식 매입만으로는 평균단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될 것 입니다. 지난 2021년 초 삼성전자가 최고점인 98,600원을 찍는 시점에 매수를 시작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때, 신문과 방송에서 삼성전자 13만원 간다고 한참 떠들어 대던 사람들...

말하기는 쉬운 손절매도 - 실전 주식 투자

말하기는 쉬운 손절매도 A. 손절 매도를 권하다 주식 투자를 잘 하기 위해 여러 주식 책들을 읽다 보면, 한결 같이 얘기하는 것이 있습니다. 손절매도 입니다. 잃지 않는 매매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맞습니다. 평가 손실 5%, 7%, 15%, 20% 손실을 버티는 구간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고, 각종 책들도 손절 매도를 해야 하는 구간을 다양하게 제시합니다.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손절 매도가 필요한 것도 맞습니다. 투자 사례 책을 쓴 저자들은 대부분 대규모 펀드를 운용하는 기관에 소속된 사람들입니다 현금 운용에 한계가 있고, 투자 규모가 작은 개인이 아닙니다. 한 두 종목 손절 매도 하더라도, 다른 종목에 투자해 충분히 수익을 낼 수 있는 대규모 투자자입니다. 종목에 대한 정보가 충분한 사람들입니다. 손절 매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의 차이가 개인과는 다릅니다. B. 고수가 되어도 어려운 것 책의 내용대로, 손절 매도를 정확하게 하다 보면, 어느 순간 계좌가 서서히 녹아 내리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종목에 대한 정보 부족과 투자금 운용의 미숙함, 비중 조절 실패 등으로 손절 매도의 횟수와 규모는 점점 증가합니다. 손절 매도를 칼 같이 해서 계좌를 지키는 개인 투자자들도 있겠지만, 이것은 극히 일부입니다. 특히, 단기 단타의 고수는 하루에 수 억원을 벌다 가도, 손절 매도를 못해서 하루에 수 억원을 까먹기도 합니다. 항상 긴장감 속에 매매를 합니다. 아무리 주식의 고수여도 어려운 것이 손절 매도입니다. 항상 이런 긴장감 속에서 매매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긴장감 속에 매매를 하게 되면, 주식 투자를 오래 지속할 수 없습니다. 주식 투자를 평생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생각한다면, 이러한 형태의 손실 매도는 오래 지속할 수 없습니다. 평범한 개인 투자자들도 매매의 기준 없이 손절 매도를 계속 하다 보면, 투자 활동을 오래 지속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C. 결론 - 올바른 매수 습관이 먼저 당연한 얘기로 들릴 수 있겠지만, 최대한 ...

Thoughts on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South Korea and responding to the stock market

A. Thoughts on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South Korea On the night of December 3, 2024, the President of Yoon Suk 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emergency martial law. When I first heard this news, I thought it was an AI deepfake. Unfortunately, however, it was a reality. Shortly after, martial law was lifted, but the chaotic aftermath continues. Honestly, I don't know how long this conflict will continue. When I first heard about martial law, what I was most curious about was, "Why did President Yoon Suk Yeol declare emergency martial law?" It was Defense Minister Kim Yong-hyun who directly told me that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martial law is to verify allegations of election fraud by the Election Commission." he said. By looking at various circumstances, this seems to be right. However, nearly three weeks after martial law was declared, there is no specific address to the allegations of fraudulent elections in the big two parties, major m...

현재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생각과 주식 시장 대응 - 실전 주식 투자

현재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생각과 주식 시장 대응 A. 현재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생각 지난 2024년 12월 3일 밤,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처음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저는 AI 딥페이크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실이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계엄령은 해제 되었지만, 그 혼란스러운 여파는 계속 되고 있습니다. 솔직히 이 갈등이 언제까지 이어질 지 모르겠습니다. 처음 계엄령 소식을 접했을 때,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이 왜 비상 계엄을 선포했을까?" 였습니다. 그 궁금증을 직접적으로 얘기해 준 사람은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었습니다. "이번 계엄의 목적은 선거 관리 위원회 부정 선거 의혹에 대한 검증"이라고 했습니다. 여러 정황을 보았을 때, 이 말은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계엄 선포 이후, 일주일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도 부정 선거 의혹에 대해서 거대 양 당과 메이저 언론, 선거 관리 위원회, 사법부, 그 어떤 곳에서도 구체적으로 다루어 주는 곳이 없습니다. 그저 일부 유튜버 들의 음모론 정도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 살면서 제가 느낀 것은, 본래 정치인과 언론인들은 남의 허물을 공격하여, 이익을 얻는 집단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직접적으로 국방부 장관이 얘기해 준 "부정 선거 의혹"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건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매일 대통령 탄핵의 압박을 받고 있는 정부 여당의 국회의원들조차도 이 부분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얘기를 하더라도 아주 소극적으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마치 건드리면 안되는 '역린' 처럼 여기는 듯 합니다. 이번에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정 선거에 대한 이슈를 계속 제기 했던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아는 사실입니다.  지금 세계 곳곳에서 부정 선거 사례들이 많고, 그 부정 선거 국가의 개표기가 한국산 이었다는 사실은 이번에 여러 기사를 접하게 되면서 알게 ...

현재 시점 삼성전자 주가에 대한 생각 - 관심주

현재 시점 삼성전자 주가에 대한 생각 A. 이렇게 까지.. 2024년 10월 25일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55,900원입니다. 삼성전자가 생긴 이래 단기간 가장 큰 하락 입니다. 대형주가 이렇게도 무너질 수 있네요. 그것도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인정하는 글로벌 대기업인 삼성전자가 말이지요. 여러가지 이유로 대형주 매매를 하지 않습니다만,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은 좀 황당 합니다. 지금 주가가 이렇게 하락하고, 외국인의 매도가 거세다 보니, 삼성전자의 위기에 대해서 또 떠들기 시작합니다. 석 달 전까지 장밋빛 미래를 보며 목표 주가를 마구 올리던 기관들도 이제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습니다. 참 가볍습니다. 삼성전자가 혁신이 필요한 것은 맞아 보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 얘기하는 몰락은 없다고 생각 합니다. B. 조금 더 기다리자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불안, 금투세 문제 등 여러가지 이슈로 증시가 좀 더 불안정해 진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문제는 있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과 기관들이 좀 더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삼성전자의 위기를 얘기하지만, 한국에서 젊은이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하는 기업이 어디입니까?  한국의 모든 기업들이 삼성전자의 성공사례를 연구하고, 삼성에서 나온 인재들은 다른 기업에서 서로 모셔가려 합니다. 과거를 얘기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해외에서도 한국의 인재와 기술력, 산업 경쟁력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습니다. 다만, 한국은 취약한 금융 시장 구조를 가졌습니다. 외국인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외국 기관들은 언제든 다시 돌아옵니다. 먹을게 있으면 언제든 다시 돌아옵니다. 시간이 좀 필요할 뿐 입니다. C. 결론 - 주가 전망 및 대응 삼성전자의 주가를 보면 2022년 9월 30일 51,800원을 저점으로 약 22개월간 우상향 했습니다. 약 22개월간 70% 상승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충분히 이익을 취했다고 생각 하지 않을까요? 주가가 많이 올라서 팔고 나가는 것입니다. 여...

주식 시장 하락장 대응 - 주식 시황

주식 시장 하락장 대응 A. 잦은 급락 지난 8월 5일 어이 없는 급락장을 겪은 이후, 다시 한 달 만에 큰 폭의 하락장 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의 하락으로, 다음 주 월요일 장에서 다시 하락을 예고 하고 있습니다. 며칠 간 하락이 이어져 왔기에 하락이 멈추기를 바라지만, 미국 증시 하락에 연동해서 하락하는 과거의 사례를 봤을 때, 월요일 장도 제법 큰 폭의 하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8월 초 하락을 메우는가 싶더니, 다시 하락 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가 상승할 때는 따라가지 못하고, 하락 할 때는 여지 없이 같이 하락 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달, 기술적 반등을 할 때, 상승을 기대하고 다시 주식을 매수한 개인 투자자들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차트 윗 구간에서 많은 비중을 매수했거나, 반등 구간에서 상승을 기대하고 자금을 많이 투입한 투자자들은 심리적으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 으로 생각합니다. B. 현금 확보 어떤 전문가들은 지금 시점에라도 현금이 없다면, 현금 확보를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과연, 하락하고 있는 지금 시점에 현금 확보를 해야 할까요? 그리고, 할 수 있을까요? 말은 참 쉽습니다. 더 하락할 수도 있으니, 더 하락하기 전에 현금 확보하라. 많은 종목들이 대략 20~30%, 그 이상의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손실 상황에서 선뜻 그런 손실을 감수하며 현금 확보를 할 수 있을까요? 저는 지금은 현금 확보할 타이밍은 늦었다고 봅니다. 현금을 확보하려면, 조금 더 빠른 시점에 했어야 합니다. 현금 확보는 필요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하기 힘든 구간이라고 봅니다. 주가는 또 반등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떨어지는 중에 현금 확보를 하는 것 보다는 반등하는 시점에 일부 비중을 덜어내며, 현금 확보 하는 것이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봅니다. 분할 매도로 비중을 덜어내는데, 상승 정도에 따라, 대략 적게는 보유 비중의 5% 에서 많게는 30% 정도까지 비중을 덜어낼 수 있다 고 봅니다. 이 정도까지 보...

전문가 추천 주식의 함정 - 실전 주식 투자

전문가 추천 주식의 함정 A. 추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케이블 채널의 주식 방송, 주식 유튜브, 경제 채널 등에서 종목 정보를 얻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방송의 추천 종목에 귀 기울입니다. 약 두 달 전 삼성전자가 8만원을 넘어 상승하는 시점에 각 경제 채널 주식 방송과, 경제 뉴스에서는 삼성전자 13만원 간다는 뉴스를 쏟아냈습니다. 소위 전문가들이라는 사람들도 방송에 나와서 긍정적인 신호를 주며, 추천했습니다. 증권사 리서치 센터에서도 삼성전자의 목표 주가를 높여 추천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 어떻게 됐나요, 약 두 달 가량이 지난 지금 삼성전자의 주가는 7만원 밑 으로 떨어졌습니다. 비단, 삼성전자 뿐이 아닙니다. 방송에서 추천한 이후, 삼성전자와 같은 패턴을 보이는 종목은 너무나 많습니다. 최근에는 2차전지 관련주, AI관련주, 반도체 장비주 등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습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의 추천이 있고, 방송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증권사 리서치 센터가 목표 가격을 높이는 거의 대부분의 종목들은 며칠 상승하는 척을 하다가, 하락을 시작 합니다. B. 왜 추천할까? 방송에 나와서 종목을 추천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증권사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펀드운용사 임원 들입니다.  대부분 주식을 운용하는 사람들 입니다. 회사가 보유하든, 개인이 보유하든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처분을 해야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 입니다. 처분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받아주는 주체가 있어야 합니다. 받아주기에 가장 좋은 세력이 누구일까요, 개인 투자자들 입니다. 아래에서 잘 사 모은 주식을 조금씩 주가를 올리며, 실현 수익을 취하다가 자신들이 생각하는 목표 가격 부근에 왔을 때, 언론이나, 입소문을 통해서 종목의 긍정적인 뉴스를 퍼뜨립니다. 평소 얘기도 없던 종목이 내 귀에 좋은 종목으로, 혹은 방송을 통해서 많이 회자 되기 시작하면 대부분 투자하기에 이미 늦었다고 생각 하면 됩니다. C. 결론 만약 이런 ...